하조은의 블로그

함수와 주석 그리고 오류 처리

2020.01.17 (4년 전)

클린 코드를 주제로 했던 강의를 글로 정리합니다. (강의 내용과 글의 코드가 상이할 수 있습니다.)

클린 코드

로버트 마틴(Robert C. Martin)의 책을 통해 클린 코드를 알게 됐습니다. 협업을 잘하기 위해 회사에서 동료들과 함께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배운 클린 코드에 대한 몇 가지 지식을 추려봤습니다. 간단한 예시와 실제 사례도 담았습니다.

함수와 주석

프로그래밍은 여느 글짓기와 비슷하다 - Robert C. Martin

함수는 코드를 문장처럼 읽히게 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합니다. 간단한 사례를 통해 프로그래밍이 글짓기와 비슷해질 수 있는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const renderSubFigure = subFigure => subFigure && <figure>{subFigure}</figure>;

간단한 컴포넌트를 그려주는 함수입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data의 존재 여부에 따라 엘리먼트를 그릴지 말지 검사하는 부분입니다. && 연산자를 이용해 값이 참으로 평가되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figure>를 그리도록 하고 있죠. 이에 대해서도 리뷰가 남습니다.

조금 더 명시적으로 변경했으면 좋겠다는 리뷰입니다. 명시적이란 표현은 '내용이나 뜻을 분명하게 드러내 보이는. 또는 그런 것'이라고 사전에서 정의하고 있습니다. 어찌 보면 의미 있는 이름을 짓는 것과 같은 내용이네요. 동료인 리뷰어는 !!를 사용하거나 optional 함수를 사용하길 제안합니다. 제안을 받아들이고 코드를 개선했습니다.

// !!를 사용해 참/거짓을 평가하고 있음을 명시적으로 드러냄
const renderSubFigure = subFigure =>
  !!subFigure && <figure>{subFigure}</figure>;
// optional을 사용해 값의 존재 유무에 따라 동작하는 코드임을 명시적으로 드러냄
const renderSubFigure = subFigure =>
  optional(subFigure, it => <figure>{it}</figure>);

두 방법 모두 명시적으로 어떤 행위를 하는지 표현하고 있습니다. optional 함수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두번째 경우가 조금 더 읽기 좋은 코드가 될 것 같습니다. 함수를 하나만 더 사용한다면 더 명시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죠.

const renderFigure = it => <figure>{it}</figure>;
 
const renderSubFigure = subFigure => optional(subFigure, renderFigure);

renderSubFigure 함수 내부가 이제 이렇게 읽힙니다. "optional한 subFigure 값이 존재한다면 figure를 render 한다"

코드 자체가 글인데 주석은 왜 써야해?

함수만으로 코드를 명시적으로 풀어낼 수 있다면 주석이 필요 없습니다. 주석에 의존하기 시작하면 코드의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주석 없이 코드만으로 이해 가능한 코드를 작성해야합니다. 따라서 주석 사용은 지양해야합니다. 서술적이고 명시적인 이름을 지어 주석 대신 코드로 이야기할 수 있는 코드가 좋은 코드입니다.

오류 처리

논리와 오류 코드를 뒤섞지 마라 - Robert C. Martin

로버트 마틴이 주장하는 논리와 오류 코드를 뒤섞지마라는 얘기는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게 하라는 의미입니다. 비즈니스 로직, 유저에게 영향을 주는 코드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도록 그 외의 코드를 뒤섞지마라는 이 조언을 어떻게 받아드려야 할까요. 앞서서 잘 쓴 문장처럼 읽히도록 바꿔둔 코드에 로깅 코드를 추가해봄으로써 어떻게 이 조언을 실천할 수 있을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우리가 바꿔둔 아래의 함수는 유저가 필터를 적용할 때마다 실행되는 코드입니다. 어떤 필터가 적용했는지 로그를 남길 수 있는 코드를 추가해달라는 요구 사항을 반영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on_click("#is_prime", ({ currentTarget }) => {
  const has_class_all = has_class(currentTarget, "all");
  let filter_name = ""; // 1
 
  if (has_class_all) {
    const is_prime = loan => loan.is_prime;
    const filtered_loans = current.loans.filter(is_prime);
 
    filter_name = "prime_only"; // 2
    set_state({ loans: filtered_loans });
  } else {
    const compare_function = compare_functions[current.sort_by];
    const sorted_loans = origin.loans.sort(compare_function);
 
    filter_name = "all"; // 3
    set_state({ loans: sorted_loans });
  }
 
  console.log(filter_name); // 4
  render(current.loans);
});

이렇게 기존의 코드에 네 줄의 코드에 넣어서 원하는 로그를 남길 수 있습니다. 아주 쉽죠. 하지만 문제는 비즈니스 로직을 읽는 중에 흐름을 끊고 있다는 점입니다. "'all' 클래스를 가졌다면 현재 데이터(current.loans) 중에서 필터링하고, 필터 이름을 정해준다. 그렇지 않다면 기존 데이터(origin.loans)를 정렬하고, 필터 이름을 정해준다. 그리고 로그를 남긴 뒤, 랜더링한다." 코드를 읽는 중에 다른 논리가 계속 끼어들고 있죠. 두가지 논리가 뒤섞여 있습니다. 정리가 필요해보이네요.

on_click("#is_prime", ({ currentTarget }) => {
  const has_class_all = has_class(currentTarget, "all");
 
  if (has_class_all) {
    const is_prime = loan => loan.is_prime;
    const filtered_loans = current.loans.filter(is_prime);
 
    set_state({ loans: filtered_loans });
  } else {
    const compare_function = compare_functions[current.sort_by];
    const sorted_loans = origin.loans.sort(compare_function);
 
    set_state({ loans: sorted_loans });
  }
 
  render(current.loans);
  event_log(has_class_all); // 1
});
 
const event_log = has_class_all => {
  const filter_name = has_class_all ? "prime_only" : "all";
  console.log(filter_name);
};

이제는 기존 함수 내에 한 줄의 코드만 넣어서 원하는 바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렇게 읽을 수 있죠. "'all' 필터링 된 이후에, 그걸 기준으로 로그를 남기는구나" 숨어든 논리가 밖으로 표현됩니다. 이제는 기능 추가나 디버깅을 할때도 고쳐야할 부분이 적어진 상황이죠. 논리가 분명해져서 읽기 좋은 코드가 됐습니다.

마지막 글은 클린 코드를 배우고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그리고 클린 코드를 적용함에 있어 주의해야할 내용에 대해 다룹니다.